오늘은 이더리움의 수수료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이더리움 (Ethereum)에서 송금이나 스마트 계약을 할 경우, 가스라는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이더리움은 그냥 코인 아니냐고요? 정확하게 말하면 이더리움은 메인넷입니다.
이더리움이라는 메인넷에서 사용할 수 있는 화폐가 이더리움 코인이고요. 이더리움 코인을 보통 ETC라고 일컫습니다.
메인넷?
참고로 메인넷은 독립적인 플랫폼인데요. 메인넷마다 기본 기능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블록체인은 금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으로 이루어진 기술이기 때문에,
암호화폐를 주고받을 수 있는 송금 기능이 기본 인프라로 깔려있습니다.
메인넷별로 암호화폐나 토큰은 달라집니다. 그래서 메인넷별로 어떤 토큰을 지원하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각 메인넷마다 어떤 서비스를 이용할 때마다 네이티브 토큰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더리움 메인넷에서 네이티브 토큰은 이더이고요. 이더리움의 송금 시 사용되는 일종의 수수료는 가스입니다.
이더리움 전송과정에서 사용되는 수수료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더리움 내에서는 거래 유형이 다양한데요. 거래가 얼마나 복잡한지에 따라 가스양도 달라집니다.
각 블록당 가스는 제한되어 있으니, 모든 거래들이 바로 처리되지는 않습니다.
모든 액션마다 가스는 필요하고, 각 블록마다 가스의 양은 제한되어 있다면 어떤 결과가 초래될까요?
채굴자들은 가스비가 가장 높은 거래를 선택하게 됩니다. 나머지 거래들은 다음 블록으로 밀려가거나 선택되지 못한다는 이야기죠.
블록이라는 한정된 공간에 다수의 유저가 입찰한다면, 비싼 수수료 (가수)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이더리움 코인을 선호합니다. 특히 한국인이 선호하는데요. 왜일까요?
정확하고 명료하게 이유를 얘기드릴 순 없습니다. 설명과 추측이 다양하기 때문이죠.
여러 가설 중, 개인적으로 가장 공감하는 이유는 바로 '한국'이 분단국가라는 특수성을 띈 나라라는 것입니다.
물론 내부적으로 전쟁을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분위기는 아니지만,
분단에 의해 전쟁 불안이 항상 내재되어 있어 안전 자산에 대한 관심이 높기 때문이라는 이야기인데요.
혹자는 국내 대기업이 EEA(Enterprise Ethereum Alliance)에 참여했기 때문이라고도 하고요.
이더리움에서 가스라는 비싼 수수료를 낼만큼 이더리움이 안전하냐고요?
아직까지 해킹된 사례는 없지만, 작년 4월 경 기술적 결함을 서울대 연구진이 찾기도 했죠; ㅎㅎ
그럼에도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블록체인이기에 다른 블록체인에 비해 더 많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더리움에 기반해 개발된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디앱)은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기술의 장점도 동반하고요.
그럼 가스는 어떻게 계산하는지 살펴볼까요?
먼저 가스의 단위는 Gwei입니다. (wei는 이더리움에서 표시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입니다.)
1 Gewi = 0.0000000001 ETH입니다.
음, 참고로 현재 (2022년 3월 16일 수요일) 기준으로 1 ETH는 약 3,300,000원 정도네요.
(속닥속닥) ETH의 가격과 트랜잭션 가격을 분리하면, 트랜잭션 비용이 비싸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요!
가스비는 가스 가격 x 가스 한도로 계산합니다.가격을 알기 위해서, 계산을 해야 되냐고 겁먹지 마세요.
대부분 구체적인 가격이 얼마인지, 적정 가격이 어느 정도인지 지갑 앱이나 아래 사이트 같은 곳에서 확인할 수 있으니까요.
https://etherscan.io/gastracker
그리고 가스비 시세도 미리 확인하는 게 좋은데요. 이 경우는 아래 사이트를 추천합니다.
NFT를 구매하는 등의 계획이 있다면 미리 언제 거래량이 집중되는지 체크해보세요!
https://ethereumprice.org/gas/
오늘은 한국에서 각광받고 있는 이더리움이라는 메인넷의 '가스'에 대한 내용을 같이 살펴봤습니다.
정리하자면, 가스는 이더리움이 하는 일을 수치화한 단위 값입니다.
제가 알려드린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로 거래를 해보시면, 더 이해가 쉽게 가실 거예요.
처음 시리즈를 작성할 때만 해도, 몇몇 마켓플레이스와 NFT에 대한 정보를 알려드리려고 했는데요.
이야기하다 보니 개념에 대해 설명해드릴 것이 많아 이야기가 길어지는 것 같아요.
그래서 'NFT 마켓플레이스' 시리즈는 여러분과 제가 NFT에 대한 이해도가 충분히 쌓일 때까지 이어나가고자 합니다!
(막간 TMI)
저는 요즘 NFT에 올릴 콘텐츠를 준비 중입니다. (블로그를 개설하기 전부터 기획하고 있었어요!)
처음에도 말씀드렸지만 저는 아직 NFT를 투자의 개념으로 바라보고 있지는 않습니다.
덕질의 개념으로 다가가는 중인데요. 더 즐길 수 있도록 NFT에 대한 이해도를 쌓는 중이고요.
그래서 코인을 구입하고 판매해서 차익을 노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보단,
제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가시화해서 NFT 세상에 내보이는 것을 선순위로 두고 싶어요.
뭔가 말이 거창한 것 같은데요. NFT 마켓플레이스에 업로드하게 되면, 다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NFT information (KO)' 카테고리의 다른 글
NFT 마켓플레이스 #6 - NFT로 돈을 벌 수 있다? NFT 투자 유형! (1) | 2022.03.22 |
---|---|
NFT 마켓플레이스 #5 - 디앱(DApp) = 탈중앙화앱 (feat.이더리움) (0) | 2022.03.22 |
NFT 마켓플레이스 #3 - 암호화폐를 현금화 바꾸는 방법 (1) | 2022.03.10 |
NFT 마켓플레이스 #2 - 암호화 지갑 Hot wallet, Cold wallet (feat. 디앱) (1) | 2022.03.06 |
NFT 마켓플레이스 #1 - 오픈씨 거래소(Open Sea) 가입방법 + 연동 가능한 지갑 (0) | 2022.02.27 |